ISA 계좌는 투자 수익에 대한 절세만 있는 게 아닙니다. 손익통산 기능을 활용하면 손실이 생겨도 세금을 아낄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 ISA 계좌로 투자할 때 손익통산 계산 하는 방법을 예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SA 손익통산이란 무엇인가
손익통산이란 한 계좌 안에서 발생한 수익과 손실을 서로 합산해 '순이익'만 세금 계산에 반영하는 제도입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수익이 난 상품에만 세금이 부과되고 손해 본 상품은 세금 계산에서 제외되지만, ISA에서는 이익과 손실을 통합 계산하여 남은 이익에 대해서만 과세가 이루어집니다. 이 기능 덕분에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해 일부에서 손실이 발생했더라도 전체적으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 계좌와 ISA 계좌의 세금 차이
일반 계좌에서는 각 상품별로 수익이 난 경우, 해당 수익 전체에 대해 15.4% 세금이 부과됩니다 손실은 세금 계산에서 반영되지 않아 실질 수익보다 많은 세금을 낼 수 있습니다.
반면 ISA 계좌에서는 손익통산이 가능해 여러 상품의 손익을 더한 '순이익'만을 과세 대상으로 삼고, 여기에 비과세 한도(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를 먼저 적용해 세금을 아예 면제받거나 저율(9.9%)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투자 사례로 보는 손익통산 절세 효과
예시 1
손익통산 효과 A라는 초년생이 ISA 계좌로 두 가지 상품에 투자했다고 가정할게요.
- 펀드A: 600만 원 수익
- 국내주식B: 200만 원 손실
[일반 계좌의 경우]
펀드A 수익 600만 원에 대해 세금 부과
주식B 손실은 세금 계산에서 무시
세금 납부 대상: 600만 원 전액
[ISA 계좌의 경우]
손익통산하여
600만 원(수익) - 200만 원(손실) = 400만 원(순이익)
과세 대상: 400만 원 → 세액이 크게 줄어듭니다.
예시 2
비과세 한도+손익통산
① 투자 결과
삼성전자 주식 100만 원 이익,
어떤 주식 100만 원 손실,
국내 ETF 100만 원 이익 & 10만 원 분배금,
해외 ETF 150만 원 이익 & 10만 원 배당
② 손익통산적용
국내 주식끼리 100만 원(이익) - 100만 원(손실) = 0
총 이익은 0(국내주식) + 100만 원(ETF) + 10만 원(ETF 분배금) + 150만 원(해외 ETF 수익) + 10만 원(해외 ETF 분배금) = 270만 원
③ 비과세 한도(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 초과분 과세
일반형 ISA라면 2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 70만 원에만 세금(9.9%)이 붙음
세금은 70만 원 × 9.9% = 69,300원
총 수익의 대부분이 세금 없이 남고, 일부만 저율 과세.
4. ISA 계좌에서 손익통산을 적용하는 단계
예시 3
투자자가 ISA 계좌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했다고 가정합니다.
- RP(단기채 등 안전자산) 투자에서 30만 원 이자 수익
- 국내상장 ETF 투자에서 600만 원 이익
- 해외주식형 ETF 투자에서 970만 원 이익과 500만 원 손실 발생
일반 계좌였다면 해외주식형 ETF의 이익 970만 원과 RP 이자 30만 원의 합 1,000만 원에 대해 15.4% 세율로 약 154만 원의 세금을 납부합니다.
그러나 ISA 계좌에서는 손익통산(수익-손실)하여 해외주식형 ETF 순수익은 970만 원 - 500만 원 = 470만 원으로 계산한 후, RP 이자 30만 원과 합쳐 총 500만 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계산합니다.
여기에 ISA의 비과세 한도(예: 200만 원 혹은 서민형 400만 원)가 적용되어, 한도 내 금액은 비과세, 초과분에 대해서는 9.9%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실제 내는 세금은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손익통산이 절세에 매우 유리하다는 점이 드러납니다.
이처럼 ISA에서는 다양한 수익 구조를 하나로 합쳐 과세하므로 손실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ISA 손익통산 적용 단계별 정리
ISA 계좌 내 손익통산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적용됩니다.
단계 | 설명 |
---|---|
1단계 | 여러 금융상품에 투자 (펀드, 주식, ETF 등) |
2단계 | 판매/인출 시점에서 수익과 손실 확정 |
3단계 | 모든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 순이익 계산 |
4단계 | 비과세 한도 적용 후 초과분만 9.9% 과세 |
5단계 | 순이익이 비과세 한도 이내면 세금 없음 |
손익통산이 절세에 유리한 이유
ISA 손익통산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실질 수익만큼만 세금을 낸다는 점입니다. 특히 다양한 금융상품에 분산 투자하는 경우에는 일부 손실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손익통산 기능이 없다면 수익 부분에만 과세되어 실제보다 많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반면 ISA는 순이익 기준으로 과세하고, 그 순이익도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세금 자체가 없기 때문에 절세에 매우 유리한 구조입니다 여러 상품을 하나의 ISA 계좌에서 통합 관리할수록 효과가 커지므로 분산투자 시 매우 유리합니다.
요약정리
ISA 손익통산 제도는 하나의 계좌 내 여러 상품에서 발생한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 순이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합니다. 순이익이 비과세 한도 이내라면 세금은 전혀 없고, 초과 시에도 9.9%의 낮은 세율로 과세되어 실질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손익통산 덕분에 일부 투자 손실이 있어도 전체 세금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상품을 ISA에서 운용할수록 절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자주묻는질문
1. 손익통산은 언제 적용되나요?
ISA 계좌 내 자산을 판매하거나 인출하는 시점에서 수익과 손실이 확정되며, 그 시점에 손익통산이 적용됩니다
2. 손실이 많으면 세금을 아예 안 내도 되나요?
네 수익보다 손실이 많으면 순이익이 0원이 되므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3. 모든 금융상품이 손익통산 대상인가요?
ISA 내 편입된 금융상품이 대부분 손익통산 대상이지만, 해외 배당금 등 일부는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댓글